정가 가사, 십이가사, 12가사(가사와 가곡과 시조의 구별, 가사 문학, 가사음악의 차이점)
가사, 가곡, 시조는 무엇일까요? 문학일까요? 음악일까요?가사와, 가곡은 시조와 함께 정가에 속합니다. 조선시대 상류층에서 향유하던 노래 음악입니다. 가곡은 정가 중에서 높은 예술성을 띄고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다시 말해 전문가가 노래하던 정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야금, 거문고, 대금, 해금, 세피리, 장구 등 관현악 편성으로 반주를 넣습니다. 시조는 선비들이 둘러앉아 즐겁게 향유하던 정가의 하나입니다. 비교적 그 형식이 간단하여 반주 없이 자유로운 선율로 노래하였습니다. 그래서 하층 계급에서도 많이 불렀다고 합니다. 가사는 가곡과 시조의 중간이라고 할까요? 대중성, 예술성을 시조와 가곡에 비해 반반 정도 갖춘 음악입니다. 조선 중기 풍류방에서 소박하게 장구에 피리나 대..
더보기
판소리가 궁금해 (요소, 다섯 바탕, 신재효, 서편제, 동편제, 중고제, 무형문화재)
우리나라의 중요하고 귀한 문화 콘텐츠 판소리 우리 민속 음악에서 매우 값진 것 중의 하나가 판소리입니다. 소리꾼 1명, 고수 1명이 5시간 이상 울고 웃는 이야기를 펼치는 매우 독특한 음악 또는 연극입니다. 한국인으로서 판소리에 관한 핵심적인 상식을 갖추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판소리의 구성 요소, 판소리의 특징 등으로 단락을 나누어 몇 가지 상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판소리의 구성 요소 판소리를 이루는 구성 요소는 무엇일까요? 창(소리), 아니리(말), 발림(너름새)가 기본 요소입니다. 요렇게 3가지가 공식적인 요소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고수가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판소리는 관객을 전제로하는 예술 행위이기 때문에 관객 또는 고수가 넣는 추임새가 필수 요소입니다. 창(소리)..
더보기
판소리, 3요소, 장단, 고수, 12마당, 음계, 선법, 단가
판소리는 무엇인가? ‘판소리’라는 용어는 놀이판 즉 놀이가 벌어지는 곳, 그 장소에서 하는 소리라는 뜻에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판이라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놀이판’, ‘판을 깐다’와 맥이 이어지는 것입니다. 판소리는 긴 이야기로 이루어진 극 음악의 일종입니다. 그리고 소리꾼, 고수, 관객이 있어야 판소리는 성립될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판소리 3요소 판소리는 3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소리 또는 창(唱), 아니리, 발림으로 이루어집니다.. 소리는 흔히 볼 수 있는 노래에 해당합니다. 소리꾼이 음정과 장단을 가지고 노래하는 것을 소리 또는 창이라고 칭합니다. 판소리의 핵심이 되겠지요. 아니리는 소리 중간중간 넣는 말, 설명, 대화를 가리킵니다. 특정한 음정과 장단 없이 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