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

판소리의 유파

판소리의 유파

판소리가 발생한 지역은 전라도에서부터 시작하여 충청도 경기남부 지역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되어있습니다. 때문에 판소리가 전승 지역에 따라서 계보와 파가 생기기 시작하였습니다. 보통 유파를 라고 표현하는데요. 지난 판소리의 선율()-2편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던 더늠의 개념인 와는 또 다른 의미의 입니다. 전자는 선율의 관점에서 후자는 계보의 관점에서의 개념으로 접근하면 좀 더 편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는 석화제, 설렁제와 같은 선율의 스타일 혹은 창법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우리가 흔히 아는 서편제, 동편제와 같이 전승계보 또는 유파를 의미합니다. 자 그럼 전승 지역에 따른 각 각의 판소리 유파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판소리의 계보는 어떻게 전승되어 왔을까요

 

 

 

동편제

동편제는 전라도의 섬진강을 기준하여 동쪽 지역의 명창들에 의해 전승되었던 소리 유파입니다.. 주로 구례, 순창, 운봉, 남원 등 전라도 동북지역에서 성행하였습니다. 동편제의 소리는 다른 유파들에 비해 남성적이고 통성이라는 발성을 주로 사용하여 무겁고 굵은 느낌의 창법을 구사합니다. 때문에 동편제 소리는 우조가 자주 등장하게 됩니다. 웅장하면서도 호탕하고 진중한 소리의 동편제는 소리의 끝마침을 짧게 끊어내는 특징의 대마디 대장단을 사용하여 부릅니다. 순조 때 가왕이라고 불렸던 명창 송흥록에 의해 발전되었습니다. 그 뒤를 잇는 동편제 소리 계보는 송광록 박만순 송우룡 송만갑 유성준 명창들로 주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서편제

서편제는 섬진강의 서남지역에서 전승되어온 소리제입니다. 전라도의 서부에 위치한 보성, 나주, 광주 등지에서 발달한 소리 유파입니다. 서편제는 동편제에 비해 여성스럽고 화려한 기교와 섬세한 소리의 시김새를 주로 사용합니다. 또한 소리의 꼬리를 길게 늘여서 부르는 점이 동편제와 대조되는 특징입니다. 서편제의 대목들 중에는 이러한 창법에 어울리는 선율인 계면조가 가장 많이 쓰입니다. 서편제는 19세기 중반 동편제가 고착되고 난 뒤인 19세기 말에 발전하였습니다. 주로 보성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박유전 명창에 의해 성행하게 되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이날치 김채만 정창업 김채만 등 여러 명창들에게 전승되었고, 이것이 20세기 판소리의 유행하는 가풍으로도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중고제

중고제의 전승지역은 경기도 남부지역과, 충청도 지역입니다. 동편제와 서편제의 소리의 중간이라는 의미로 중고제라는 명칭이 붙여졌습니다. 비교적 동편소리에 좀더 유사한 중고제는 경드름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소리의 높낮이를 분명하게 내고, 음정을 단계적으로 올라가는 선율을 주로 사용합니다. 소리의 끝 음을 치켜 올려 짧게 끊어내는 창법을 구사합니다. 충청, 경기권의 음악적 특색과도 많이 닮아있기도 한 중고제는 염계달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이 후 모흥갑 김성옥 김정근 - 고수관 등 여러 명창들에 의해 전승되었다가 현재는 계보가 끊어져 20세기 유성기 음반의 자료들에서나 찾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판소리 초창기 근간을 이루었던 판소리의 유파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 외에도 현재까지 전해오는 유파로는 강산제, 동초제, 김세종제가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판소리에 대하여 다양한 주제로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