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음악
옛날 우리나라 음악의 뿌리를 찾다보면 불교음악이 가장 먼저 나옵니다. ‘범패’라는 이름을 들으면 음악을 떠올리기 보단 절에서 외우는 불경이 연상될 것입니다.
기록에는 나와 있지 않으나 음악을 공연의 형태로 즐기기 시작한 것은 조선 후기부터 인데 이마저도 서민이 즐기는 형태는 아니었습니다. 서민이 일상 속에서 접하는 노래는 ‘노동요’가 가장 많습니다. 일을 하며 흥얼거리는 노래 한 자락이 고된 노동을 조금이나마 덜어주었을 것입니다.
그 다음으로 많이 접한 음악은 ‘종교음악’입니다. 무속이나 종교의식의 일부에서 음악이 함께 있는 경우가 이에 속합니다. 제사, 의식, 굿에서 사용되는 음악들로 서민의 일상 속에 있는 토속신앙과 관련이 많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정가’, ‘정악’이 서민들에게 전파 된 음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악’의 원형이 서민들에게 보급되기 보단 ‘잡가’의 형태로 변형되어 전파되었습니다.
18세기 음악의 흐름
정가는 선비들이 즐기던 풍류와 연관이 깊습니다. 조선후기 사회엔 성리학이 완전히 고착된 시기로 ‘형이상학’적 사고가 학문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북학과 실학이 있었다 해도 당시 주류학문은 성리학에서 비롯된 ‘이’와 ‘기’에 대한 탐구였습니다. 이런 사고가 음악에도 고스란히 반영됩니다. 음악은 완벽한 이상향을 표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음’의 한자가 ‘正音’이라는 표현되는 것처럼 음악은 올곧고 바른 예술의 형태입니다. 음양의 조화와 상생, 고저의 차이와 울림은 사람의 마음을 표현한다 하니 우리의 귀를 즐겁게 하는 음악으로 발전하진 못했습니다.
정음이 아닌 음악은 어떻게 부를까요?
이상에 도달하지 못하는 음악 또는 노래로 구분하여 속요俗謠, 잡요雜徭, 혹은 잡가雜歌로 불렸습니다. 경기잡가는 현재 일반인이 쉽게 감상하기 어려운 노래이지만 당대에는 이상향이 아닌 노래라 했다고 하니 참으로 아이러니합니다.
이상향 vs 즐거움
19세기의 음악은 이 두 가지가 공존합니다. 정음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과 정진으로 음악을 다루는 사람이 있었고 한편으로는 음악적인 즐거움을 위해 다루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개화기에 가까워지면서 점점 이상향보단 즐거움 쪽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그런데 즐거움의 음악만 살아남는 것은 아니었으며 정음의 레퍼토리도 하나의 즐거움의 일부로 포함되게 되었습니다. 판소리, 사당패노래, 잡가와 함께 정가도 연주되었습니다.
정악의 연주는 보통 수행하는 가객들에 의해 전해지고 불리워졌으나 한편으로는 기녀들도 풍류를 위해 정악을 연주하거나 노래하는 경우가 있었으니 음악의 소비를 구분하던 기준이 ‘신분’에서 ‘경제적 보상’으로 서서히 바뀝니다. 다만 음악 자체가 상징하던 이상향과 즐거움의 차이는 있어서 품격있는 음악은 ‘정가’였고 서민들의 음악은 ‘잡가’로 구분은 되었습니다.
극장의 설립
한성에 극장이 설립되며 음악의 유통이나 양상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유성기의 발달도 한 몫했지만 음악이 공연의 형태로 서민이 즐길 수 있게 된 것은 극장설립이 가장 큰 변화 였습니다. 기존에는 종교의식의 일부가 되거나 잔치자리에서 흥을 돋우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이제는 음악이 서민들이 즐기는 레퍼토리로 변모하였습니다. 극장은 철저히 상업성이익을 고려하여 작품을 올리므로 흥행이 될 만한 레퍼토리로 변모하기 시작합니다.
극장이 설립된 이후 우리가 지금 소비하는 음악과 성격이 비슷해지기 시작했습니다. 단순히 이상향과 즐거움의 추구를 목적으로 했었다면 극장에서는 보다 감각적이면서 서민들이 환호할만한 레퍼토리를 개발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다 보니 품격있고 신분의 격을 높이던 노래인 ‘정가’가 몰락하고 ‘잡가’나 서민들이 즐겨 부르던 노래들이 두각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가객들이나 선비들이 극장문화에 적응하지 못한 것도 하나의 이유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극장의 문화는 이상향을 추구하며 정진하던 선비들에게 맞지 않는 옷이었습니다.)
'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의 쇠퇴 그리고 지금. (0) | 2021.02.26 |
---|---|
판소리의 선율(조) 2편 (0) | 2021.02.24 |
경기잡가의 흥행과 발전 (0) | 2021.02.21 |
판소리의 선율(조) 1편 (0) | 2021.02.20 |
경기민요의 특징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