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

판소리의 선율(조) 1편

 

오늘은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선율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보통 판소리꾼들에 의해 불리는 용어는 선율이라는 단어보다 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판소리의 다양한 선율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판소리의 선율은 무엇일까요?

 

판소리의 선율 (조) 

판소리 선율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계면조와, 우조, 평조가 있습니다. 판소리의 선율이라고 함에 있어 라는 표현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는데요. 판소리의 조에는 우리가 흔히 아는 서양의 음악에서 쓰이는 선법과는 조금 다르게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에서 주로 사용되는 선율 진행 방식을 뜻하거나, 성음, 소리길, 발성법, 시김새, 선법, 악상표현 등 이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아우르는 음악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계면조

판소리에서 계면조는 육자배기토리 또는 전라도 무가의 선율과 같은 선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악상 기호로 따져본다면 슬프고 애절한 느낌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남도민요의 대표적인 잡가 중 육자배기와 흥타령과 같은 가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계면조의 가장 선법적인 특징이라고 하면 도-시의 내림 순으로 두 음이 한 음처럼(꾸밈음처럼) 꺾어지는 듯한 느낌의 단 2도 음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음에서 굵게 떠는 창법 또한 계면조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이 판소리의 우조나, 평조 나아가 다른 지역의 민요(경기민요, 서도민요 등)와도 두드러지게 차이를 나타내는 점입니다.

계면조에서 자주 나타나는 구성음이 있는데 이는 바로 미-----레입니다. 각각의 조들을 음계로 구분 지을 때 계면조는 미음계라는 용어를 쓰기도 합니다. 이러한 선율 구조로 되어있는 구성음들 중에서는 본청이라는 중심음이 있습니다. 계면조의 본청은 이며, 주로 선율 진행에서 끝나는 종지음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한편 계면조는 악상기호의 개념에서 진계면, 단계면, 평계면 3가지로 세분화하기도 합니다. 진계면은 가장 슬픈 느낌과 애절함을 표현한다면 그와 비례하여 단계면은 슬픈 감정을 갖는 정도로, 평계면은 약간의 애조를 띈 느낌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판소리에서 계면조로 불리는 대목은 흥보가의 가난타령, 춘향가의 이별대목, 심청가의 곽씨부인 유언대목, 적벽가의 군사설움대목 등이 있습니다.

 

 

전통음악의 5음 음계 궁-상-각-치-우

 

2. 우조

판소리의 우조는 정악에서 쓰이는 선율의 기법과 비슷한 느낌의 악조입니다. 가곡과 시조와 유사한 풍의 우조는 남성적이고 웅장한 느낌의 악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계면조를 여성의 소리하고 비유한다면, 우조는 남성의 소리로 대비할 수 있겠습니다. 때문에 웅장하고 장엄한 장면 또는 호령하는 장면, 유유하고 화평한 장면 등에서 주로 쓰이는 기법입니다.

 

 

우조의 구성음은 솔----미로 되어 있습니다. 우조는 솔음계라고 명칭하기도 하며, 본청 (중심음)입니다. 여기서 잠깐 각 조마다 있는 구성음은 어떻게 하여 지정되었는지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요. 국악의 전통음계는 5음 음계인 궁----우로 구성되어있고 이는 도----라 와 같은 계이름입니다. 그러나 궁상각치우가 도----라와 같은 절대음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 상대음으로써 음정 간의 간격을 뜻하는 것입니다. 5음 음계의 특징은 이웃하고 있는 음정들의 관계가 장2도와 단 3도로만3 구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5음 음계 중 은 임금을 뜻하는 음으로 궁에서부터 음계를 순차적으로 쌓아 올려 상---우로 쓰이게 되고 때문에 우조에서의 궁과 계면조에서의 궁은 서로 다른 음이지만 같은 명칭으로 지칭합니다.

판소리에서 우조로 부르는 대목은 적벽가의 삼고초려대목, 춘향가의 적성가, 심청가의 범피중류 등이 있습니다. 우조 또한 계면조와 마찬가지로 진우조, 평우조, 가곡성우조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진우조는 가장 위엄 있고

남성적인 느낌을, 평우조는 평화롭고 즐거운 느낌을, 가곡성우조는 점잖고 기품있는 악조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계면조와 우조의 선율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도 판소리의 선율()에 관련한 내용을 좀 더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의 흐름으로 보는 정가와 잡가  (0) 2021.02.23
경기잡가의 흥행과 발전  (0) 2021.02.21
경기민요의 특징  (0) 2021.02.18
판소리의 기원 3편  (0) 2021.02.17
경기 선소리 산타령의 특징  (0) 202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