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2곡 남아 있는 당악(唐樂) 중 하나
고려시대에 당, 송나라로부터 전해온 당악은 현재 딱 2곡 남아 있습니다. 낙양춘(洛陽春)과 보허자(步虛子)입니다. 현재까지 다양한 파생곡으로도 남아있는 보허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비록 당, 송나라에서 수입한 곡이지만 세월이 흐름에 따라 변주되고 우리나라 음악적 정서와 형식에 맞게 변화하여 당, 송의 음악과는 다른 형태로 연주되고 있습니다.
보허자는 어떤 음악인가?
보허자는 송나라의 사악(詞樂)입니다. 즉 당악에 해당합니다. 고려시대에 당악정재 중 오양선의 반주 음악으로 우리나라에 소개되었습니다. 당악정재는 송나라의 궁중무용을 가리킵니다. 낙양춘과 함께 유이하게 남아있는 당악입니다. 그러나 현재 연주되고 있는 보허자는 향악화 되어 원형과는 다른 모습으로 전해 집니다. 향악화 되었다는 것은 우리식 대로 연주한다는 의미입니다. 5음계를 사용합니다. 형식면에서도 보허자 원형과 많이 다릅니다.
보허자가 있고 보허사가 있습니다. 보허자는 관악 중심으로 편성하여 연주하는 형태이고 보허사는 현악 중심으로 구성된 형태입니다. 보통 보허자를 얘기하면 관악 편성의 것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관악 보허자는 현악 보허사에서 파생된 음악입니다. 보허사는 7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중 1, 3, 4장을 관악 편성의 보허자로 연주합니다.
악기 구성은 관악 합주일 때 당피리, 대금, 당적, 해금, 대금, 장고, 좌고, 편종, 편경으로 연주합니다. 현악 보허자는 거문고, 가야금, 비파, 양금으로 구성합니다.
보허자의 내용
궁중 무용 장생보연지무를 출 때 반주 음악으로 연주합니다. 여기에 가사를 붙여 노래합니다.. 이럴 때 연주하는 보허자를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이라는 곡명으로 부릅니다.
천문해일선홍(天門海日先紅)으로 시작합니다. 보허자를 두 부분으로 구분한다면 앞부분에서 상상 속의 환상적인 자연 풍경을 묘사합니다. 뒷 부분 가사는 구중춘색 반도연(九重春色 蟠桃宴)으로 이어집니다. 궁궐의 풍경을 그리면서 임금의 만수무강과 평안을 기원하는 내용으로 노래합니다. 한문 가사로 가장 아름다운 바다와 해, 동물과 식물을 그립니다. 한문으로 노래하기 때문에 감상자들에게 큰 감흥으로 다가오지는 않습니다. 한문의 가사 내용을 우리말로 풀어보면 옛 사람들이 추구하던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대하여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보허자는 어떤 용도로 연주된 음악인가?
보허자는 원래 무용 음악으로 전해졌다는 것을 앞에서도 써 놓았습니다. 당악정재의 하나인 오양선의 반주 음악으로 고려시대에 들어왔습니다.. 출궁악(出宮樂)과 연향악(宴享樂)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출궁악은 임금이 궁궐에서 밖으로 나갈 때 음악이고 연향악은 궁궐 내 경사 때, 임금과 신하의 화합의 의미를 상징할 때, 노인에 대한 우대를 표할 때, 외국 사신에 대한 환영의 의미로 연주하는 음악입니다.
보허자는 특히 무용 음악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여러 무용의 반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그 결과 여러 가지 변형으로 파생된 곡이 많습니다.
보허자의 변천사-외국에서 수입되어 우리 음악이 되어 가는 과정
보허자는 고려 때 수입되어 온 송 사악(詞樂)입니다. 당악정재 중 한 작품인 오양선(五羊仙)의 반주 음악이었습니다. 이것이 점점 향악화 되어 갑니다. 향악화 되어 간다는 것은 우리의 음악화 되어간다는 뜻입니다. 형식과 음계가 변화해 갔습니다.
세조 때 음악을 조선 후기에 정리해 편찬했던 대악후보(大樂後譜)에 실린 보허자는 음악 형식, 음역면에서 조금 변한 점이 있으나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선조 때 편찬한 거문고 악보집 금합자보(琴合字譜)에 실린 보허자는 거문고의 주법과 음악 형식 면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줄을 밀어 짚는 역안법이 나타나고 농현법이 보입니다. 형식에서는 미전사가 나오고 미후사가 나오는데 미후사의 앞부분만 남고 뒷부분인 환입가락은 생략됩니다.
숙종 때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신증금보(新證琴譜)에서는 더 많은 변화가 보입니다. 거문고의 음역이 더 넓어지고 선율이 더 화려합니다. 형식 면에서는 미전사, 미후사 모두 다 연주하고 미후사 뒤에 환두 가락을 덧붙이는 모양새를 보입니다. 그리고 가사가 붙어 있지만 잘못된 곳이 많아 이것을 두고 가사가 없어지는 징조라고 해석합니다.
영조 때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한금신보(韓琴新譜)에서는 상당한 변화를 보입니다. 일단 가사가 없어집니다. 그리고 보허자와 여러 파생곡이 등장합니다. 우선 보허자는 미전사에 환두가락까지 연주하는 것으로 악보가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현재 현악 보허자 즉 보허사와 같습니다. 두 번째로 보허자본환입(步虛子本還入)은 보허자 2장의 일곱 번째 장단 이후를 변주한 곡입니다. 현재의 밑도드리에 해당합니다. 세 번째 보허자삭환입(步虛子數還入)은 보허자본환입을 변주한 곡으로 현재 웃도드리와 같습니다. 네 번째 보허자제지(步虛子除指)는 우조가락도드리와와 같습니다. 이렇게 파생한 세곡은 보허자 원곡의 장단은 그대로 유지합니다. 선율과 빠르기만 변형한 곡입니다. 중간에 장단이 변하는 것은 유예지에 실린 악보에서부터 보입니다.
현재 보허자는 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장별 구분은 조선말기에 나타납니다. 속원악보와 유예지부터 보허자가 7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현악 보허자는 1,2,3,4장은 느리게 5,6,7장은 빠르게 연주합니다. 관악 보허자는 1,3,4장만 연주합니다.
'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읍(井邑) 또는 수제천(壽齊天), 그리고 동동(動動) (0) | 2023.04.04 |
---|---|
낙양춘(洛陽春) (0) | 2023.03.21 |
여민락(與民樂), 여민락만(慢), 여민락본령(本令), 여민락해령(解令) (0) | 2023.02.10 |
영산회상, 현악영산회상, 거문고회상,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 아악 (0) | 2023.01.25 |
한국음악, 국악의 분류 – 아악, 당악, 향악 (0)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