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

한국음악, 국악의 분류 – 아악, 당악, 향악

아악(雅樂), 당악(唐樂), 향악(鄕樂) 말은 많이 들어 보았는데...

한국음악 다시 말해 국악을 얘기할 때 아악, 당악, 향악 이라는 개념을 많이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이 세가지 갈래의 개념이 어떤 기준으로 나눠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기초가 되는 개념을 알고 한국음악을 접하게 되면 더 많은 것이 보이고,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썸네일

 

아악(雅樂)

아악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연주되던 음악입니다. 아악의 어원은 논어의 오정성지란아악야(惡鄭聲之亂雅樂也)에서 연유합니다. 아정(雅正)한 소리 즉 바른 소리를 가리킵니다. 1116년 고려 예종 11년 송나라 휘종 때 대성아악(大聖雅樂)“을 수입하였습니다. 아악은 이 때부터 우리나라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아악은 각종 제사와 국빈 만찬 등에서 연주되었습니다.

아악은 고려 예종 때부터 시작하였으나 국가의 보존 의지가 약해지고, 전쟁이 발생하여 제대로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그러다가 조선 세종 때 박연이 아악을 대대적으로 정비하여 대성아악을 넘어 그 뿌리가 되는 주나라의 아악에 가깝도록 질과 위상을 끌어올립니다.. 이후 다시 크게 쇠락하여 현재는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중 석전악, 팔일무만 연주되고 있습니다.

 

한국음악-문묘제례악

당악(唐樂)

당악은 당나라의 음악을 뜻하지 않습니다. 중국에서 들어온 음악을 통칭하여 가리킵니다. 송나라 때 궁중음악 중 속악(俗樂)이 대표적입니다. 그리고 당악이라는 말은 향악(鄕樂)과 대비한 개념이기도 합니다.

 

 

고려시대에 당악과 악기, 연주자들이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이래로 조선 초까지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될 정도였습니다. 세종 이후 당악은 그 위세가 꺾입니다. 30곡 이상에 달하던 그 곡 수가 영조 때는 15곡이 전해 졌고, 현재는 보허자’, ‘낙양춘2곡만 남아 있습니다. 이 마저도 한국 음악화하였습니다. 처음엔 당악과 향악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궁중에서도 분리된 특정 위치에서 연주하였습니다. 당악은 서쪽, 향악은 동쪽에 자리 잡았습니다.. 악기 편성도 당악기, 향악기로 구분되었으나 점차 혼합되는 향당교주(鄕唐交奏) 즉 당악기와 향악기의 협연, 합주되는 경향으로 바뀌게 됩니다.

당악은 성악곡입니다. ‘보허자는 6 음계, ‘낙양춘’은 7음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당악 보허자 악보

향악(鄕樂)

향악도 아악, 당악과 마찬가지로 궁중에서 연주하던 음악의 한 갈래입니다. 아악, 당악과 구분되는 지점은 순수한 한국 전래의 음악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에 당나라 이전에 서역 등으로부터 수입된 외래 음악, 불교 음악을 포함합니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전래의 음악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궁중 의식 때 향악은 우방악(右方樂)이라고 하여 좌방악(左方樂)이라고 불렀던 당악과 자리를 구분하여 배치하기도 하였습니다.

주의할 것은 향악은 민속악과 다른 개념입니다. 즉 판소리, 민요, 산조, 농악은 민속악이지 향악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오늘날 종묘제례악의 정대업보태평“, ”여민락“, ”수제천“, ‘취타’, ‘영상회상이 대표적인 향악으로 연주되고 있습니다.

 

향악 여민락 악보

 

맺음말

간단히 정리하자면 아악, 당악, 향악은 결국 모두 궁중에서 연주하던 음악입니다. 아악은 송나라의 정악을 들여온 것이고 당악은 당나라를 포함하여 송나라의 속악을 수입한 것이고 향악은 우리나라에서 작곡한 궁중음악입니다. 아악 그리고 당악도 수입한 그대로가 아닌 우리나라의 음악가들이 다시 손 보고 토착화시켜 연주하고 남겼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아악, 당악, 향악이 모두 전통의 한국음악으로 묶을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