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

여민락(與民樂), 여민락만(慢), 여민락본령(本令), 여민락해령(解令)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다

여민락은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다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세종때 만든 곡으로 훈민정음 창제의 정신과도 이어진다고 하겠습니다. 여민락은 세월이 흐르면서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렇게 저렇게 변주하기도 하구요. 그래서 4가지 종류의 여민락이 존재합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여민락(與民樂)의 시작

여민락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 선율을 넣어 부르던 성악곡이었습니다. 한문으로 된 용비어천가의 1, 2, 3, 4장과 마지막장, 125장을 가사로 사용하였습니다. 여민락은 원래 중국의 고취악을 참고하여 작곡하였습니다. 그래서인지 5음 음계가 아닌 6음 음계가 사용되었습니다. 즉 황종(Eb), 태주(F), 중려(Ab), 임종(Bb), 남려(C)에 무역이 함께 나옵니다. 그러나 무역은 전체 7장 중 6장에서 잠깐 나옵니다.

여민락은 작곡된 세종 때의 음악과 현재 연주되고 있는 음악이 많이 다릅니다. 처음에는 중국 음악의 면모를 많이 띠고 있었지만 현재의 것은 가사도 없어지고 변화가 많이 이루어져 향악화 되었습니다.

여민락은 현재 4가지 형태로 남아 있습니다. 여민락, 여민락 만(, 여민락 영(), 여민락 해령(解令)4곡의 곡명입니다.

 

 

여민락

여민락은 5음계로 되어 있습니다. 황종(Eb), 태주(F), 중려(Ab), 임종(Bb), 남려(C) 평조입니다. 향피리, 대금, 소금, 가야금, 해금, 거문고, , 장고, 아쟁으로 구성됩니다. 관악기와 현악기가 함께 연주하는 관현악 합주 형태입니다. 승평만세지곡(昇平萬歲之曲)이라는 아명(雅名)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원래는 10장까지 있었지만 3장이 줄어 현재는 7장만 연주됩니다. 각 장은 총 32장단으로 이루어지는데 원가락은 12장단, 여음(餘音)20장단입니다. 3장까지는 매우 느린 장단으로 연주합니다. 이 부분에 잔가락이 많이 추가되어 원형과는 조금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그리고 4장부터 7장까지는 급박(急迫)이라 하여 빠른 속도로 연주합니다. 급박 부분은 앞 부분에 비해 원형의 가락을 많이 지니고 있습니다.

 

여민락 악보

 

여민락만()

여민락 만은 행악(行樂)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경록무강지곡(景籙無彊之曲)이라는 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관현악 편성인 승평만세지곡과는 달리 가야금과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가 빠지고 향피리 대신 당피리로 연주합니다. 여기에 편종, 편경, 방향이 추가되어 중국풍의 편성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여민락 만의 악보는 세종실록에 실려 있으며 이러한 편성과 악보가 현존하는 제일 오래된 것이라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방향(方響)

여민락본령(本令)

여민락본령은 여민락만과 같이 행악 또는 연례 행사 음악으로 사용되습니다. 아명은 태평추지곡(太平春之曲)입니다. 속악원보에 관보(菅譜)와 방향보(方響譜)가 실려있습니다. 원래 5장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는 초장만 연주합니다. 여러 가지로 여민락 만과 비슷한 점이 있습니다. 악기 편성이 당피리, 당적, 대금, 해금, 장고, 방향, 북으로 연주합니다. 틀이 있는 리듬이 아닌 부정형의 리듬으로 연주합니다. 현재의 여민락과 달리 당음악의 색채가 강합니다. 현재 여민락본령도 행악으로 연주되기보다는 무대 음악으로 많이 연주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편경, 편종을 추가하여 편성합니다.

 

*방향: 타악기. 악기의 모습은 편경과 비슷함. 중국 양나라 때 만들어짐. 음역이 높고 음색이 고르지 못함.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음

 

여민락해령(解令)

여민락해령은 여민락본령의 32마루 중 16마루까지를 풀어서 연주하는 변주곡입니다. 그리고 한 절이 끝날 때 대금, 해금, 당적이 연음으로 이어줍니다.

여민락본령은 원래 가락대로 연주하는 곡이고, 여민락해령은 원래 가락을 풀어서 연주하는 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