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

우리 민요의 선법 - 토리

 

경상도로 가면 경상도의 언어, 전라도로 가면 전라도의 언어, 충청도로 가면 충청도의 언어가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음악에도 이런 스타일이 있습니다.

 

지역별 토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역에 따라 민요들이 왜 다르게 들릴까요? 단순히 노래가 달라서 그럴까요? 지역마다 지역스타일이 있습니다. 마치 지역만의 방언이나 언어 생활양식이 다른 것처럼 지역에서 전해 내려온 노래들도 그런 스타일들이 있습니다. 음을 이루는 선법, 시김새, 구조 같은 음악양식에서 지역별로 특징을 보이는 데, 이것을 우리는 토리라고 합니다. 저번에 설명했던 도 이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그 외에도 라는 말을 쓰기도 합니다.

 

경토리

경기지역 노래에서 보이는 음악적 특징을 경토리라 하는데 경토리는 진경토리와 반경토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진경토리는 경기지역하면 떠오르는 음계 ----의 구조(교과서에서 가장 처음에 배우는 음계입니다.)로 되어 있습니다. 솔이 마침음(본청)이 되는 선법이며. 5음음계 구성음 중 생략되는 음이 없이 고루 사용됩니다. 진경토리는 평조와 같은 계통으로 여겨집니다. (평조는 궁중음악에서 주로 쓰이는 선법입니다. 한양이 수도임을 생각하면 깊은 연관의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습니다. 서양음악의 장조와 비슷합니다.) 진경토리는 서울과 경기도에 잘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서쪽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다른 말로 창부타령조라고도 한다.

 

 

반경토리----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라가 마침음(본청)이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여기서 눈썰미가 좋은 분들은 눈치채실 겁니다. 진경토리와 같은음을 사용하는데 으뜸음만 바꾼것 아닌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계이름만 보면 충분히 그럴 수 있는데 본청(여기에선 으뜸음과 비슷한 개념)이 다르다는 것은 시작과 끝이 달라짐을 의미합니다.

 

앞서 소개한 진경토리는 ----의 구조로 음정구조로 살펴보면 장2(온음)-3-2-2도의 구조로 2번째 음과 3번째 음이 벌어집니다만, 반경토리는 ----구조로 단3-2-2-3도의 구조입니다. 반경토리는 1, 2번사이와 4,5번사이에 단3도 도약이 있어 보다 역동적인 느낌입니다.

 

진경토리는 서도의 난봉가토리와 구조적으로 유사합니다. 그러나 경토리의 특징인 5음음계 구성음 중 생략되는 음이 없습니다. 반경토리는 도약의 특징 특히 시작부터 단3도가 나오므로 궁중음악의 계면조와 같은 계통으로도 여겨집니다.(서양음악의 단조와 비슷합니다.)

지역별 토리는 독특한 민요 가락을 만들어 냅니다.

서도지역의 특징

서도지역도 경기지역처럼 두 개의 토리가 있습니다. 수심가토리와 난봉가토리가 있습니다.

수심가토리--(×)--의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5음음계에서 음 하나가 빠진 형태이고, 레음이 종지음이 되는 선법입니다. 경토리보다 조금 더 지역적 특색이 느껴지는 수심가토리는 를 떠는 음으로 하고, 그 아래 음인 솔을 수시로 생략하여 보다 독특한 느낌을 줍니다.

 

난봉가토리--()--의 구조입니다. 반경토리와 상당히 비슷한 구조인데 미가 요성음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제3음인 레가 생략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점이 다릅니다.

 

난봉가토리와 반경토리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다보니 교류가 많아 서도지역의 고유의 토리와 반경토리가 만나서 생겼다고 추정하기도 합니다. 이와 달리 수심가토리는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관서지방에 분포되어있어 경토리와는 뚜렷한 차이점을 보여줍니다.

 

 

남도지역의 음악양식

남도지역은 육자백이토리가 있습니다. ‘-(×)----/ -----(×)-로 구성됩니다. 육자백이토리는 솔이 출현하지 않는 점이 특징적이고, 상행(위로 올라가는 음계)과 하행(아래로 내려가는 음계)이 다릅니다. 한국의 선법 중 유일하게 반음이 섞여 있어 조금 더 구슬픈 듯한 가락이 느껴집니다. 주로 호남지역과 경상도 서남부지역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동부지역의 음악양식

동쪽은 메나리토리가 있습니다. ‘-(×)----/ -----로 구성됩니다.

메나리토리 역시 상행(위로 올라가는 음계)과 하행(아래로 내려가는 음계)이 다릅니다. 위로 올라갈 때 솔을 연주하지 않고, 내려갈 때는 솔이 라미의 사이에서 지나가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고, 레는 도 앞에서 꾸밈음으로 많이 쓰입니다. 강원도·경상도 대부분 지역과 충청북도 지역, 동부지방 및 함경도 해안지방 등 우리나라 동쪽지역에 넓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그 밖에 토리

메나리토리와 약간 다른 어사용토리, 남부지역에 신경토리(또는 남부경토리)등이 지역에 남아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고유의 선법인 토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