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

정가는 무엇일까요?

 

앞서 경기소리에서 간략하게 정가를 소개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장르별 정가를 조금 더 자세하게 소개하겠습니다.

 

우리의 전통예술'정가'에 대해 알아볼께요. (소리꾼 윤석영, 이미리, 윤현숙)

 

1. 가곡

조선의 가곡의 뿌리는 고려가요에 있다고 보는 학설이 유력합니다. 고려가요가 여러가지 복잡한 형식으로 발전한 과정에서 탄생한 초수대엽, 평롱, 우락, 편수대업 같은 곡에서 조선가곡의 뿌리가 되었다고 합니다. 가곡을 들으면 아시겠지만 길게 뻗는 음이 상당히 많고 꺽는 음과 비비는 음이 많아 일반 사람이 이 가사를 음미하며 듣기 어렵습니다. 그 대신 곡 전반적으로 흐르는 기품과 품위가 있으며 옛 선비들의 정취를 느낄 수 있습니다.

가곡은 조선 중기부터 중인계층 가객이 부르고 전승하였으며 후기에는 평민에게도 전파되었습니다. 중인계층으로부터 박효관, 장우벽 등 으로 전승된 가곡은 현재는 국립국악원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습니다.

 

2. 가사

가사는 국악에 있는 노래 중에서 긴 사설을 노래하는 것입니다. 사설이라 함은 예부터 전해 내려온 이야기나, 삼국지의 대목처럼 중국의 문학 등이 담긴 글입니다. 가사는 12가사로 대변됩니다. 조선 후기에 가객에 의해서 전승되던 춘면곡, 어부사와 같은 8가사가 있었고, 조선 말기에 평민가객의 감정에 맞는 수양산가 등 4개 가 추가 되어 12가사가 완성되었습니다. 중인출신 가객들과 평민출신 가객의 활동을 보면 재미있습니다. 중인출신들은 대체로 가곡을 부르고 전승하는 데 주력한 반면 평민출신 가객들은 가사에 주력하였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가곡은 조금 더 멋스러운 기품이 느껴지며 가사는 조금 더 서민들의 정서가 묻어납니다.

 

 

3. 시조

시조는 중인층 가객들에 의하여 평시조 등 기본적인 틀이 완성된 것 같고 가곡과 노래 말이 같습니다. 평민가객들에 의하여 오늘날과 같은 사설지름, 수잡가, 우조 시조 등 여러 종류가 완성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시조는 지방으로도 잘 전파가 되어 지역고유의 특색을 지닌 지역의 향제시조가 완성되었습니다. 국악인들이 쩨라고 말하는 것은 지역적 스타일인데 경기도 시조는 경제시조라 부릅니다. 흔히 같은 곡을 불러도 다르게 부르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면 소리꾼이 가지고 있는 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시조는 또 문학에서 이야기 하는 시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문학적 완성도가 높은 글에 곡을 붙였기 때문에 그 예술성, 우리말의 연구 자료로 귀한 가치를 지내고 있습니다. 시조의 완성은 고려말기에서 조선초기에 많이 지어졌고 우리가 아는 시조의 대부분은 이 시대의 것이라 봐도 무방합니다.

요즘은 소리꾼들에 의해 노래들이 전승됩니다.

 

4. 송서, 율창

우리는 tv를 통해 예전 학당에서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을 보았을 것입니다. 전통방식의 글 공부는 글을 읊조리면서 일정한 리듬에 따라 읽는 것입니다. 선비들이 글을 읽을 때 소리를 내며 읊조리던 것이 점점 성악곡으로 발전하였고, 소리꾼들이 이것을 전문적으로 다듬어 만든 것을 송서와 시창이라 합니다.

송서는 산문으로 된 글을 소리로 읊조리는 것입니다. 예전의 선비들은 추풍감별곡, 등왕각서 같은 송서를 즐기며 부르고 학문도 익혔으나 지금은 송서를 즐기는 층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또한 이것을 구현하는 소리꾼도 매우 드물게 되었습니다.

 

 

시창은 한문으로 된 시를 읊조리는 것입니다. 한자시는 보통 7, 5언 구조로 되어있으며 글자수가 짧은 것처럼 간결하고 형식이 뚜렷한 것이 특징입니다. 정가조로 되어 있는 시창으로는 십이난간, 죽서루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