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

아악: 도드리, 계면가락, 양청, 우조가락도드리, 보허자 파생, 천년만세

 

 

귀족들에게 사랑받았던 음악 보허자

오늘 포스팅하는 도드리, 계면가락 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는 모두 보허자에서 파생된 음악입니다. 보허자는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수입된 당악입니다. 이렇게 수입된 당악을 변주하여 향악화한 음악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향악화한다는 것은 음계를 5음음계 중심으로 하고 악기를 향악기(우리나라 악기)로 편성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보허자라는 음악은 우리나라 귀족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여러 형태로 변형하고 변주하여 많은 파생 음악으로 전해지기 때문입니다.

 

썸네일

 

도드리

도드리는 한자로 환입(還入)으로 표시합니다. 지금 말하는 도돌이 정도로 생각하면 어떨까 합니다. 도드리가 보허자로부터 파생되었다는 것은 머리말에서 밝혔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변주했을까요?

보허자를 ABCB의 형태로 구성을 표기할 수 있습니다. ABCB를 보면 B2번 나옵니다. 즉 반복되는 겁니다. B는 반복된다하여 환입(還入)이라고 합니다. CA를 변주했다 하여 환두(換頭)라고 합니다. 환입과 환두의 환자가 서로 다른 점을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각각 돌아올 환(), 바꿀 환()입니다. 요 반복 부분인 B를 연주하고(환입) C를 이어 연주(환두)하는 것이 도드리입니다. 보허자는 2/10박자이고 이것을 도드리에서는 4/6로 변형하여 연주합니다.

 

악기 구성은 향피리, 대금, 가야금, 해금, 거문고, 장고, 북으로 합니다. 악기 구성에서도 향악화된 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향피리

 

거문고

 

계면가락도드리

계면가락도드리는 우조가락도드리에 상대되는 음악입니다. 그러나 음악적으로 관련성을 찾아내지는 못했습니다. 이 곡은 영상회상의 9번째 곡 군악에 뒤이어 많이 연주합니다. 계면가락도드리에 이어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가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로 이어지는데 이 세 곡만을 묶어 천년만세(千年萬歲)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악기 구성은 현악 영상회상과 같습니다. 따라서 줄풍류에 속합니다.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대금, 해금, 장소, 단소, 양금으로 구성합니다. 12/8박자이며 장의 구분이 없습니다.

양청도드리(200)

양청도드리는 웃도드리를 다시 한 번 변주한 곡입니다. 7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밑도드리는 한 옥타브 올린 웃도드리를 변주하였습니다. 웃도드리가 6/4박자인 것을 12/8박자로 변형하였습니다. 가락은 웃도드리의 한 장단에서 주요한 2개의 음을 뽑아 연주하는데 그 2개의 음 앞에 거문고 1번째 줄 개방현에 해당하는 문현(文絃)을 넣습니다. 양청이라는 말은 주요한 2개의 음에서 나온 명칭입니다. 가장 빠르고 경쾌한 아악곡입니다.

 

우조가락도드리

보통 우조가락도드리는 양청도드리 뒤에 이어집니다. 우조는 평조 음계를 사용한 도드리라는 뜻입니다. 계면가락도드리에 상대되는 뜻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양청가락도드리를 한 번 더 변주한 곡입니다. 양청도드리와 같이 12/8박자인데 우조가락도드리는 잔잔한 느낌을 줍니다.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를 하나로 묶어 천년만세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는 것을 꼭 알아둬야 하겠습니다.

 

한국의 궁궐 향원정

 

연구에 의해 밝혀낸 보허자와의 관련성

이렇게 많은 종류의 음악기 보허자로부터 파생되었다는 점도 장사훈 박사께서 연구하여 밝혀낸 사실입니다. 학자로서 음악을 분석해 보니 이 많은 음악이 보허자와 관련 있다는 점을 발견했을 때 스스로 얼마나 놀라고 보람을 느꼈을지 상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