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악을 토리의 범주로 나눔
‘토리’는 민속악을 선율에 나타나는 전체적인 특징을 지역에 따라 범주화 시킨 것을 말합니다. ‘드름’, ‘제’, ‘조’라는 말과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지만 엄연히 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토리’는 단순히 음계만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음계를 포함하여 주요음, 시김새, 많이 사용하는 음 진행까지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이러한 ‘토리’로써 한반도 각 지역의 민속악을 구분하여 범주화 시켜 보겠습니다.
경토리
서울, 경기 지역에 전해 오는 민요, 삼현육각(해금, 대금, 피리 2, 장구, 북의 편성)에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을 ‘경토리’라고 가리킵니다. 경토리와 조금씩 특징을 달리하는 것을 진경토리, 반경토리, 신경토리라는 용어로 구분합니다.
경토리가 선율의 측면에서 다른 지역의 음악과 다른 점은 5음계의 음정을 비교적 고루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특별한 시김새를 강조하거나 요성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입니다.
경토리의 전체적인 특징은 위에서 밝혔고 이제 경토리 안에서 구분되는 진경토리와 반경토리가 다른 점을 보겠습니다. 진경토리는 ‘솔’ 음으로 끝납니다. ‘노랫가락,’ ‘창부타령’, ‘도라지타령’을 보시면 그러합니다.
반경토리는 ‘라’음으로 끝납니다. ‘한강수타령’, ‘경복궁타령’, ‘천안삼거리’의 끝나는 음을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신경토리는 ‘도’음으로 끝납니다. ‘노들강변’, ‘본조아리랑’이 ‘도’로 끝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특징은 음악 분석가들의 분석에 의하여 나온 결과입니다. 실제 경기도 남부의 토속 민요들은 이와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호남의 음악에서 영향은 받은 흔적이 나타납니다. 경토리로 묶을 수 있는 음악은 지역의 토속 민요의 특징이라기 보다 전문 소리꾼들이 널리 퍼뜨린 통속 민요에 더 가깝습니다. 그로 인한 것인지는 몰라도 다른 지역에 이러한 경토리의 특징적인 면이 널리 퍼져 음악에 남아 있습니다.
육자배기토리
육자배기토리는 명칭에서 풍겨 나오듯이 한반도 서남부의 민요, 무가, 기악에 나타나는 특성을 가리킵니다. 육자배기라고 하면 남도 민요의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노래이기 때문에 이 명칭을 따서 하나의 토리로 묶었다고 보겠습니다.
구성음은 미, 라, 시, 도입니다. 가장 낮은 음인 ‘미’는 떠는 목 또는 요성이라고 합니다. 그 보다 4도 위인 ‘라’는 평으로 내는 목 또는 평성이라고 합니다. 그 위의 ‘도’와 ‘시’가 특이한데 ‘도’에서 ‘시’로 하행하는 꺾는 목 또는 퇴성이라고 합니다. 떠는 목인 ‘미’, 평으로 내는 목인 ‘라’, 꺾는 목을 이루는 ‘도’와 ‘시’는 빼면 5음계 중 솔과 레가 남는데 ‘솔’과 ‘레’는 잠깐씩 나오는 경과음 정도로만 쓰입니다.
육자배기토리의 특성을 보여주는 음악으로는 “육자배기”, “흥타령”, “진도아리랑”, “긴 농부가”, “까투리타령” 등이 있습니다.
다른 지역의 음악적 특징과 섞여 색다른 음악이 탄생합니다. 육자배기토리와 경토리가 만나 각각의 색깔이 나타나는 음악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음계는 솔, 라, 도, 레, 미 즉 경토리를 사용하면서 육자배기토리의 떠는 목으로 노래하고 끝나는 음이 ‘솔’이 아닌 4도 위의 ‘도’인 경우가 있습니다. “성주풀이”가 대표적인 노래인데 이러한 교류, 융합 현상은 경기 남부, 충남 서북부 토속민요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모습을 보이는 음악들을 “성주풀이토리” 또는 “남도경토리”라고 구분 짓기도 합니다.
이렇게 이웃 지역 음악과의 교류 융합 현상은 경상도의 메나리토리와도 이루어 졌다.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이다. 사람이 왕래하고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지는 노래가 뒤섞이니 합쳐진 형태의 새로운 음악이 만들어지는 것은 희한한 일이 아닌 것이다.
'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음악, 국악의 분류 – 아악, 당악, 향악 (0) | 2022.12.30 |
---|---|
메나리토리와 수심가토리 (0) | 2022.08.30 |
정악의 장단 2(10박 장단, 6박 장단, 가곡의 장단) (0) | 2022.08.20 |
정악의 장단 1(20박 장단, 갈라치는 20박 장단, 갈라치는 불규칙 장단) (0) | 2022.06.18 |
민요(국악)의 장단 2 (휘모리, 굿거리, 세마치) (0) | 2022.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