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지역의 토리는 어떻게 생겼을까?
지난 포스팅에서 경토리와 육자배기토리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메나리토리와 수심가토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반도 동부와 서북부에서 발행한 음악 어법들로서 경토리와 육자배기에 비해서 조금은 위세가 약하지만 민속악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각 토리의 찾이점과 공통으로 띄는 특징에 대하여 악보 자료를 통해서 접근해 보겠습니다.
메나리토리
메나리토리는 한반도 동부의 음계와 음악 어법을 가리킵니다. 경상도, 강원도, 함경도를 잇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음악을 특성화 하여 묶은 것입니다. 메나리라는 말은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부르던 논매는 소리에서 온 말입니다.
메나리토리의 가장 큰 특징은 상행 음계와 하행 음계가 조금 다르다는 것입니다. 상행할 땐 미로 시작하여 라, 도, 레, 미로 진행됩니다. 하행할 땐 중간에 솔이 추가되어 미, 레, 도, 라, 솔, 미가 됩니다. 라에서 미로 진행할 때 솔이 경과음처럼 사용됩니다. 경과음으로 사용되는 솔은 메나리토리의 가장 큰 특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레는 도의 장식음 노릇을 합니다. 도 앞에서 레가 전타음의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마치는 음은 ‘라’입니다. 그래서 계면조의 일종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위의 악보를 보시면 상행 음계는 육자배기 토리와 흡사합니다. 미에서 강하게 떠는 표현이 없어서 그렇지 구성음은 상행 음계는 같습니다. (꺾는음은 하행으로 보아 상행 구성음이 아니라고 본 것임) 이렇게 구성음이 흡사하고 끝나는 음이 ‘라’로 같기 때문에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를 묶어 ‘동남토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메나리토리로 분류하는 노래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함경도의 “신고산타령”, “궁초댕기, 강원도의 ”강원도아리랑“, ”한오백년“, 경상도의 ”쾌지나칭칭“, ”옹헤야“등이 있습니다. 눈여겨 볼 민요가 있습니다. ”정선아리랑“입니다. 메나리토리의 음계를 사용하지만 종지음이 ”미“입니다. ”미“로 마치기 때문에 그 처량함을 더한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이렇듯 최저음인 ”미“로 마치는 형태는 경토리의 영향으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경토리의 민요가 최저음이 ”솔“로 끝나기 때문입니다.
수심가토리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노래 제목 뒤에 제를 넣어 그 노래의 유형을 지역의 유형으로 범주화 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육자배기제, 어랑타령제, 노래가락제가 그런 경우에 해당합니다. 뒤에 붙는 제를 ‘토리’로 바꾸어 부르기도 합니다. 육자배기토리, 수심가토리하는 식으로 말입니다. 다른 포스팅에서도 밝혔지만 제=토리는 아닙니다. 토리와 제는 조금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수심가토리는 황해도, 평안도의 민속악을 대표하는 수심가의 구성음과 특징을 유형화 하여 하나의 범주로 구분짓는 말입니다.
수심가토리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일단 구성음은 레, 미, 솔, 라, 도입니다. 레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라’음이 중심음이 되고 나오는 빈도도 높습니다. ‘라’는 이른바 떠는 목, 요성으로 노래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서양음계로 표현하기 때문에 레,미,솔,라,도이지 레와 미, 도와 라 사이에 미분음들이 많아 이것을 잘 표현하는 것이 서도민요를 잘 부르는 관건이 되기도 합니다.
수심가토리에는 싸름타령, 긴아리, 자진아리, 애원성, 연백 모심기소리 등이 있습니다.
구성음 중 솔은 잘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최저음 레에서 라로 도약하는 진행이 수심가토리의 특색있는 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떠는 음 ‘라’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육자배기토리의 최저음 ‘미’가 떠는 음인데 반해 비교적 고음인 ‘라’에서 떠는 목을 사용하기 때문에 음악이 전체적으로 경쾌하고 맑은 느낌을 줍니다.
그리고 수심가토리의 구성음은 경토리 구성음과 매우 흡사합니다. 수심가토리 레, 미, 솔, 라 , 도 그리고 경토리 솔, 라, 도, 레, 미입니다.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이 다 똑같고 맨 상위 음 즉 라와 도 그리고 레와 미의 간격이 다를 뿐입니다. 그런데 실제 음정을 측정해 보면 경토리는 미를 조금 높게 부르고, 수심가토리는 도를 조금 낮게 부르기 때문에 거의 비슷한 음으로 들립니다. 종지음은 각각 최저음 수심가의 경우 ‘레’로 많이 끝나고 경토리는 ‘솔’로 많이 끝납니다. 이렇듯 수심가토리와 경토리는 유사한 점이 많아 일찍이 경서도민요라고 두 지역의 민요를 통칭하여 불러 왔습니다.
'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산회상, 현악영산회상, 거문고회상,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 아악 (0) | 2023.01.25 |
---|---|
한국음악, 국악의 분류 – 아악, 당악, 향악 (0) | 2022.12.30 |
경토리, 육자배기토리 (0) | 2022.08.25 |
정악의 장단 2(10박 장단, 6박 장단, 가곡의 장단) (0) | 2022.08.20 |
정악의 장단 1(20박 장단, 갈라치는 20박 장단, 갈라치는 불규칙 장단) (0) | 2022.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