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연주 형태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각 연주 형태에 따른 마이킹 방법은 무엇일까요?
아악(雅樂)
아악은 궁중이나 상류 사회에서 향유하던 음악입니다. 아정이라 하여 장식음 없이 정직하게 연주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현악기 위주의 편성은 줄풍류, 관악기 위주 편성은 대풍류라고 합니다. 관악기와 현악기가 함께 연주하는 관현합주 형태가 있습니다. 아악에 속하는 곡의 연주 형태와 마이킹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영산회상(靈山會相)
영산회상은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현악 중심으로 거문고회상, 향피리 중심의 평조회상, 삼현육각으로 연주하는 삼현 영산회상이 있습니다.
영산회상은 원래 ‘영산회상불보살’이라는 성악곡이었으나 지금은 악기로만 연주하는 기악곡이 되었습니다.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9곡으로 되어 있습니다.
거문고회상은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대금, 해금, 장고, 단소, 양금이 한 대씩 편성됩니다. 현악기 중심으로 편성되었다고 하여 줄풍류라고도 합니다.
향피리 중심의 평조회상이 있습니다. 거문고회상을 4도 아래로 내려 연주하는 곡입니다. 대금, 해금, 가야금, 거문고, 장고는 비슷하지만 향피리의 음량에 따라 단소, 양금, 세피리가 복수로 편성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삼현 영산회상입니다. 피리2, 대금 1, 해금 1, 북 1, 장고 1로 구성된 삼현육각으로 연주한다고 하여 삼현 영산회상이라고 부릅니다. 관악기 중심으로 편성되어 대풍류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거문고 회상을 변주하여 연주합니다.
이렇게 여러 국악기가 연주하는 편성으로 공연할 때는 확성하지 않고 자연음향으로 소리 나도록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공연 환경에 따라 확성을 해야할 경우에는 원포인트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시스템(one point microphone system)으로 마이크를 설치합니다. 여기에 악기별, 악기군 별로 마이크를 따로 설치하는 악센트 마이크로폰(accent microphone) 마이킹을 사용합니다. 악기군에 대하여 마이킹을 할 때는 수석 연주자를 중심으로 악기군 전체를 향하여 설치합니다.
여민락(與民樂)
여민락은 용비어천가에 곡을 붙인 음악입니다. 용비어천가 1장, 2장, 3장, 4장, 125장의 가사를 관현 합주 반주에 실어 부르던 성악곡이었습니다. 지금은 기악으로만 연주합니다. 현재 7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래는 10장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황(黃), 태(太), 중(仲), 임(林), 남(南)의 5음계로 되어 있습니다.
악기 구성은 향피리, 대금, 해금, 거문고, 가야금, 북, 장고, 아쟁, 소금 등으로 구성되는데 주로 복수의 악기로 편성됩니다.
여민락도 관현합주 편성이므로 원포인트 마이크로폰 시스템(one point microphone system)에 각 악기, 악기군 별로 액센트 마이크로폰 (accent microphone)을 사용합니다.
지금까지 아악 중에 영상회상(靈山會相), 여민락(與民樂)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악기 편성과 마이킹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도 아악에 속하는 다른 음악들을 알아보고 악기 편성, 특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음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 연주 형태에 따른 마이킹 3 (0) | 2021.04.11 |
---|---|
국악 연주 형태에 따른 마이킹 2 (0) | 2021.04.08 |
국악의 여러 가지 연주 형태 (0) | 2021.04.02 |
좋은 음향을 방해하는 공연장의 문제점들 (0) | 2021.03.30 |
좋은 음향을 위한 공연장의 구조 (1) | 202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