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프가 하나이고 스피커가 여러 대일 때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스피커를 여러 대 연결하면 출력이 달라집니다. 계산식을 알아보겠습니다.

하나의 앰프에 여러 대의 스피커를 연결할 때 꼭 알아두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그리고, 임피던스가 각각 다른 스피커를 함께 연결할 때 각각의 스피커들이 내는 출력을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로 숙지하고 계시지 않다면 이번 포스팅을 잘 살펴보시고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여러 대의 스피커(speaker) 연결 방법
하나의 앰프가 있고 여러 대의 스피커(speaker)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 공연 상황에서 필요에 의해 맞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 때 앰프와 스피커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도록 연결하는 것이 관건이 되겠습니다. 여기서 전제로 알고 있어야 하는 사실이 있습니다. 하나의 앰프에 여러 대의 스피커를 연결 하면 스피커의 부하 임피던스(impidence)가 변해 출력을 달라지게 한다는 것입니다.
스피커의 직렬연결

위 그림과 같이 연결하는 방법을 스피커의 직렬연결이라고 합니다. 스피커간 +와 – 연결이 있는 것이 눈에 띕니다. 이렇게 연결하면 각 스피커의 임피던스 값이 합쳐진 임피던스 값만큼 전류의 흐름을 방해합니다. 즉 출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각 스피커의 임피던스 값이 4Ω이라고 하면 전체 임피던스 값은 4*2=8Ω이 됩니다. 앰프 정격출력이 4Ω에서 400w라고 하면 한쪽 스피커로 나오는 출력은 200w입니다. 두 개의 스피커를 직렬 연결한 결과 8Ω의 임피던스가 나왔기 때문에 200w의 반인 100w의 출력이 각 스피커에서 나옵니다.
스피커의 병렬연결

위 그림과 같이 +는 +, -는 –끼리 연결하는 방식을 스피커의 병렬 연결이라고 합니다. 이 방식으로 연결하면 스피커를 많이 연결할수록 임피던스(impidence)값이 줄어듭니다. 이렇게 되면 앰프의 출력이 커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통 스피커를 여러 대 연결할 경우 병렬연결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스피커 병렬연결 시 임피던스(impidence) 값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R=1/((1/R1)+(1/R2)...(1/Rn))
입니다.
앰프 정격출력이 4Ω에서 400w인 앰프에 4Ω짜리 스피커 두 개를 병렬로 연결합니다. 이 때 임피던스 값은
1/((1/4)+(1/4))=2Ω이 됩니다. 그래서 출력은 400w의 두배인 800w가 되고 각각의 스피커에서는 400w의 출력이 나옵니다. 이렇게 병렬로 연결하면 임피던스(impidence)가 줄어들어 출력이 커지게 되는데 이것은 무한대로 커지는 것은 아닙니다. 각 앰프에는 최소 부하 임피던스라는 것이 있습니다. 보통은 4Ω 성능이 좋은 앰프는 2Ω가 최소 부하 임피던스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스피커의 직렬연결, 병렬연결 이외에도 스피커의 직병렬 연결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아주 많은 스피커를 연결할 때 원하는 임피던스(impidence) 값을 얻기 위해 사용합니다. 직렬과 병렬의 방법을 혼용하는 방식입니다.
임피던스(impidence)가 다른 각각의 스피커 출력 계산 방법
앞서 스피커의 직렬연결, 병렬연결을 설명할 때 같은 임피던스(impidence)를 갖는 스피커를 연결하는 사례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같은 임피던스(impidence)가 아닌 스피커를 연결하면 그 출력이 어떻게 나올까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스피커 출력(w)=전체 임피던스/개별 스피커 임피던스*전체 출력
위의 결과를 내려면 먼저 그 시스템의 전체 임피던스 값을 계산하는 것이 먼저 되어야 하겠습니다.
실제 계산을 해 보겠습니다.
앰프 정격출력이 4Ω에서 200w, 8Ω 스피커 2대, 4Ω 스피커 1대를 병렬로 연결할 경우
전체 임피던스는
1/(1/8)+(1/8)+(1/4)=2/4=2==> 2Ω이 됩니다.
각 스피커가 내는 출력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전체 출력은 전체 임피던스가 2Ω이기 때문에 400w가 됩니다.
공식에 대입해 보겠습니다.
8Ω 스피커 2대가 각각 내는 출력은
전체 임피던스 2Ω/개별 임피던스8Ω*전체 출력 400w = 100w입니다.
4Ω 스피커는
전체 임피던스 2Ω/개별 임피던스4Ω*전체 출력 400w = 200w입니다.
조금 복잡한 내용이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음향에 필요한 전기 상식을 알아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음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grounding)와 잡음(noise)에 관하여 (0) | 2021.03.02 |
---|---|
음향(acoustics)에 필요한 전기 용어를 알아볼까요? (0) | 2021.02.28 |
스피커(speaker) 1 (0) | 2021.02.22 |
마이크 테크닉(microphone technique)2 (0) | 2021.02.19 |
마이크 테크닉(microphone technique)1 (0)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