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우리 민요(국악)의 장단 다시 살펴보기
우리나라 전통 음악에는 여러 가지 장단이 있습니다. 우선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진양조를 제외하면 3분박 4박 계열입니다. 진양조는 조금 다른 계열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장단별로 알아보겠습니다. 빠르기 별로 한 줄로 세워 구분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명확하게 기억하기가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장단을 악보로 표기하고 사용하는 노래와 음악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진양조
진양조는 판소리나 산조에서 쓰는 가장 느린 장단입니다. 3소박 6박자가 기본 틀입니다. 이 6박이 1각으로 4각까지하면 24박이 됩니다. 판소리에서는 진양장단 대목들이 있고 산조에서는 첫째 악장을 진양조에 맞춰 연주합니다.
진양조의 어원은 ‘질다’입니다, 전라도 말로 길다를 뜻합니다.
판소리에서 진양조는 웅장한 부분, 슬픈 부분에 사용합니다. 웅장한 부분은 우조를 사용합니다. 진양조에 우조를 사용하는 대목은 춘향가의 적성가, 심청가의 시비따라, 범피중류 대목 수궁가에서는 소상팔경, 적벽가에서는 친여척, 흥보가에서는 집터잡이 등입니다.
슬픈 대목은 계면조를 사용합니다. 진양조에 계면조를 사용하는 대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춘향가 십장가, 심청가 추월만정, 수궁가 용왕탄식, 적벽가 군사설움타령, 흥보가 박타는 대목입니다.
진양조를 악보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모리
중모리는 3분박 12박자 장단입니다. 조금 느린 곡에 맞습니다. 판소리 단가, 춘향가 중 쑥대머리, 사랑가, 흥보가 중 가난타령, 수궁가 중 선인을 따라가며, 심청가 중 심봉가 황성 올라가는 대목에서 중모리를 사용합니다. 산조에서는 중모리 장단 악장을 이룹니다. 민요에서는 남도민요 육자배기, 서도민요 몽금포타령, 산염불을 중모리로 칩니다. 가야금 병창에서는 녹음방초, 호남가, 청석령 지나갈제가 중모리입니다.
중모리를 악보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중모리
중중모리 장단은 판소리의 기본 장단으로 봅니다. 판소리가 중중모리 장단에서 출발했다고 보는 견해가 있을 정도입니다.
판소리에서 중중모리 장단은 일상을 묘사하는 장면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활보하는 장면, 춤추는 장면 등에 어울립니다. 춘향가의 어사장모행차 대목, 자진사랑가, 수궁가에서 토끼화상, 흥보가에서 비단타령 대목에서 바로 중중모리 장단을 쳐 줍니다.
산조에서는 진양조, 중모리 다음에 나오는 악장이 중중모리입니다.
민요에서는 중모리장단에 이어 빨라지는 부분을 중중모리장단으로 노래합니다.
무악에서는 중중모리가 굿거리장단과 혼용되는 것이 이채롭습니다.
자진모리
자진모리 역시 판소리, 산조, 무악, 농악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자진모리를 부르는 다른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덩더궁이장단’이라고 합니다.
판소리 춘향가 중 ‘어사출도’ 대목, ‘중신연맞이’ 대목에서 자진모리로 장단을 넣습니다. 빠른 장면의 전개를 묘사하는 데 적합합니다. 그래서 긴장감을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적입니다.
산조에서는 가장 빠른 악장입니다. 가끔 휘모리 장단 부분이 추가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자진모리대목에서 마무리합니다.
무악이나 농악에서는 이 자진모리장단을 ‘덩더궁이장단’이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민속악이 구전심수의 방법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붙여진 장단명인 것 같습니다.
자진모리장단은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타령장단, 살풀이장단과 함께 3분박 4박자 계열입니다. 다른 장단에 비해 빠릅니다. 그래서 간결한 가락과 잘 어울립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휘모리, 굿거리, 세마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악의 장단 1(20박 장단, 갈라치는 20박 장단, 갈라치는 불규칙 장단) (0) | 2022.06.18 |
---|---|
민요(국악)의 장단 2 (휘모리, 굿거리, 세마치) (0) | 2022.05.29 |
경기민요, 남도민요, 서도민요, 동부민요, 제주민요의 특징 (0) | 2022.05.02 |
평조와 계면조-우리나라 전통음악 음계 (0) | 2022.04.13 |
국악에서 사용하는 음과 음계 (0) | 2022.03.12 |